본문 바로가기

전통음식의 공학적 보존법

전통음식 글로벌 수출을 위한 위생 규격과 포장 기술 혁신

1. 글로벌 시장 진출과 위생 규격의 중요성

전통음식을 세계 시장에 안정적으로 수출하기 위해 가장 먼저 충족해야 하는 조건은 국제적 위생 규격이다. 각국은 자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엄격한 기준을 설정해 두었으며, 이를 충족하지 못하면 품질 우수성과 상관없이 수출이 불가능하다. 대표적인 국제 위생 규격으로는 HACCP(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Codex Alimentarius(국제 식품규격위원회 기준), 그리고 미국 FDA, 유럽연합(EU)의 식품 안전 규정 등이 있다. 예를 들어 김치나 된장, 고추장과 같은 발효식품은 미생물학적 안전성이 가장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되며, 잔류 농약, 중금속, 식중독균 등에 대한 철저한 검사도 병행된다. 한국 전통음식은 발효라는 특성 때문에 살아있는 미생물과 함께 존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국제적 규격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위생적 제조 환경 관리, 원재료 추적 시스템, 균일한 발효 관리 등이 필요하다. 따라서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하려면 단순한 맛과 품질뿐 아니라 위생 규격 준수와 안전성 입증이 필수적이라는 점이 강조된다.

 

2. 전통음식의 특성과 위생 관리 도전 과제

전통음식은 장류, 김치, 젓갈류, 한과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각각의 특성에 따라 위생 관리상의 도전 과제가 다르다. 예를 들어 김치는 살아있는 젖산균이 발효를 지속하기 때문에 유통 과정에서 산도와 가스 발생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된장과 고추장은 장기 숙성 과정에서 곰팡이 균총이 자연적으로 형성되기도 하는데, 이는 국내에서는 전통적 발효의 일부로 인정되지만 해외에서는 식품 안전 위반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젓갈류는 고염 환경 덕분에 일정 부분 미생물 성장을 억제하지만, 염도가 낮아지는 현대 소비 트렌드와 맞물리면 보존 안정성이 떨어진다. 또한 전통 한과나 떡류는 수분 활성도가 높아 곰팡이나 세균 오염 위험이 크다. 이런 특성은 단순히 살균·멸균 기술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렵고, 제품 특성별 맞춤형 위생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전통음식의 글로벌 수출을 위해서는 발효 특성, 저장성, 물리·화학적 안정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위생 관리 매뉴얼이 구축되어야 한다.

 

3. 포장 기술 혁신을 통한 위생 안전성 강화

위생 규격을 충족하는 동시에 제품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포장 기술 혁신이 핵심이다. 대표적인 방식으로 **가스 치환 포장(MAP,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은 포장 내부의 산소를 제거하고 이산화탄소나 질소를 주입하여 미생물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한과·떡류·김치 유통에 효과적이다. 또 다른 기술인 **초고압 처리(HPP, High Pressure Processing)**는 고온 가열 없이 병원성 미생물을 사멸시켜 발효 특유의 풍미와 영양을 유지할 수 있어 장류와 음료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 최근 주목받는 스마트 패키징은 센서를 내장해 제품 내부의 산도, 가스 발생, 온도 변화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유통 과정에서 품질 변화를 소비자와 유통업자가 즉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포장 기술은 단순히 저장 기간을 연장하는 차원을 넘어, 글로벌 유통망에서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핵심 전략이 된다. 따라서 포장 기술 혁신은 전통음식의 국제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4.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미래 전략

향후 전통음식의 글로벌 수출 성공 여부는 단순한 위생 규격 충족을 넘어 지속 가능성과 친환경성까지 포괄해야 한다. 세계 각국은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포장재 사용을 장려하고 있으며, 이는 수출 시장에서 중요한 경쟁 요인이 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바이오 기반 생분해성 필름이나 재활용 가능한 친환경 용기는 단순히 환경적 가치뿐 아니라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도 긍정적 영향을 준다. 또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ISO 22000, FSSC 22000과 같은 식품 안전 인증, 그리고 할랄(Halal)·코셔(Kosher) 인증은 다양한 문화권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여기에 더해 K-푸드의 글로벌 인지도 상승을 활용해 **‘전통과 현대 기술의 조화’**라는 브랜드 메시지를 강화한다면, 위생 규격 준수와 포장 기술 혁신은 단순한 비용이 아니라 새로운 시장 창출의 기반이 된다. 따라서 전통음식의 미래는 안전성, 지속 가능성, 기술 혁신이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전통음식 글로벌 수출을 위한 위생 규격과 포장 기술 혁신